lastnamesong

[경제금융용어 700선] 명목금리, 실질금리 본문

Life/Finance

[경제금융용어 700선] 명목금리, 실질금리

응솩이 2024. 8. 22. 22:22
반응형

금리에 관해서 공부하다보면 정말 많은 종류의 금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전 글에서 다뤘던 기준금리와 가산금리, 대출금리를 비롯하여, 경제 기사나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시장금리, 변동금리 등등 정말 다양하다. 최근 채권을 접하면서, 명목금리라는 단어를 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더 찾아보던 중 『경제금융용어 700선』 에서도 이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글에서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정리해본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기준금리, 대출금리, 시장금리 등과는 다른 방식의 분류 방법이다.

- 명목금리란?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로, 금융 상품에서 명시된 이자율을 말한다. 즉, 대출자나 예금자가 받거나 지불하는 이자율이 명목금리이다. 영어로는 nominal interest rate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제공하는 대출의 이자율이 5%라면, 이는 명목금리인 것이다. 중앙은행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도 명목금리라고 할 수 있다. 그냥 주어지는 값이므로 계산을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 실질금리란?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금리로, 돈의 구매력을 반영하는 금리이다. 영어로는 real interest rate이라고 한다.

실질금리는 경제적 관점에서 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는데, 이는 인플레이션이 자산의 실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계산 방법은 굉장히 단순하다. 명목 이자율을 \( i \), 실질 이자율을 \( r \), 인플레이션을 \( \pi \)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r = i - \pi $$

피셔 방정식 (Fisher equation)으로 계산하기도 하나, 큰 차이는 없다. (피셔 방정식에서도 위 식을 쓰기도 한다.)

주요국 실질금리 차트 (출처: world bank group)

실질금리 계산에서 사용되는 인플레이션에 따라서 사전 (ex-ante) 실질 금리와 사후 (ex-post) 실질 금리로 나눌 수 있다.

 

사전 실질 금리는 미래 경제 상황에 대한 기대와 예측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투자와 차입 등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후 실질 금리는 물가 상승률과 명목 금리를 비교해 통화 정책의 긴축 정도를 직접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실질 금리가 높으면 기준 금리가 높거나 인플레이션이 낮기 때문일 것이다. 2023년 10월 기사를 보면 우리나라의 실질 금리가 미국과 더불어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통화정책이 긴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설명하는 명목금리/실질금리

금리는 돈의 가치 즉 물가변동을 고려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로 구분할 수 있다. 명목금리는 돈의 가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로 표현된 표면상의 금리를 말한다. 이에 반하여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금년 중 1년 만기 정기예금의 명목금리가 3%이고 물가상승률이 1%일 경우 명목금리는 3%이지만 실질금리는 2%(=3%-1%)가 된다. 한편 금리와 물가의 관계를 설명하는 피셔효과(Fisher)란 금융거래시 명목금리는 실질금리에 예상 물가상승률을 더해서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통화정책으로 금리를 조정할 때 시장참가자들은 미래의 인플레이션율을 합리적으로 예상하여 실질금리에 덧붙이는 형태로 금리를 결정한다면 실질금 리는 변하지 않게 되고 결국 명목금리만 조정된다는 것이다. 경험적으로 1970~80년대 두 자릿수의 인플레이션 시대에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사후적(ex post)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나타나는 사례도 있어 장기적으로 실질금리가 불변한다는 견해 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것들이 어떻게 정책에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를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데이터로 본 주요국 실질금리…한국, 주요국 중 최고 수준 - 연합인포맥스

한국의 실질금리가 미국과 더불어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의 기준금리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지만, 통화정책은 긴축적임을 시사한다.연합인포맥스가 19일 최근 5년간

news.einfomax.co.kr

아직 이것들이 투자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보고 더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