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namesong

[채권공부] 수익률 곡선 (Yield Curve) 본문

Life/Finance

[채권공부] 수익률 곡선 (Yield Curve)

응솩이 2024. 9. 2. 22:22
반응형

이전 글들을 통해서 채권의 분류, 듀레이션의 개념, 채권의 가격과 금리 사이의 관계에 대해 정리했다.
여기에 더해 채권의 잔존 만기와 금리 사이의 관계에서도, 경제 상황을 분석할 수 있고 투자와 관련된 여러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채권의 만기와 금리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수익률 곡선에 대해 정리한다.


채권의 만기가 길면 길수록 돈을 빌려주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끼는 리스크는 어떻게 될까? 그리고 더 높은 리스크는 어떤 보상을 가져올 수 있을까? 이에 대한 고민을 하다보면 채권의 이자율은 남은 만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 수익률 곡선이란?

영어로는 yield curve라고 표현하며, 채권의 금리와 잔존만기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같은 신용등급을 갖고, 이자 지급 방식이 동일한 채권에 해야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채에 대한 수익률 분석이 거의 대부분이다.
 
앞서 소개했듯, 채권의 잔존만기가 길면 길수록 채권자는 돈을 돌려받는 것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된다. 만기가 많이 남은 장기 채권의 금리가 더 높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수익률 곡선은 만기에 따라 이렇게 달라지는 금리를 도식화 한다.

그림 출처: Investopedia

- 수익률 곡선의 세 가지 유형

그렇지만 실제 시장에서 보이는 수익률 곡선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양상을 보일 때도 있다. 때문에 수익률 곡선이 위 그림과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으며,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된다.

그림 출처: https://www.britannica.com/money/what-is-the-yield-curve

1) 정상 수익률 곡선 (Normal yield curve)
우상향하는 형태를 띠며, 만기가 갈수록 더 높은 수익률을 갖는다.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며, 이는 채무 불이행, 금리 변동, 자금의 더 나은 용처 발견 등의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투자자들이 채권 기간에 대한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된다.
 
2) 역전 수익률 곡선 (Inverted yield curve)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 형태를 띤다. 단기 채권 금리가 장기 채권 금리보다 높아지는 현상으로, 투자자들이 장래에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단기 채권의 수익률이 갑자기 상승할 수도 있다.
 
3) 평탄 수익률 곡선 (Flat yield curve)
평평하거나 아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장기 채권과 단기 채권의 수익률 차이가 무의미하다. 이는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을 나타낸다. 정상 곡선에서 평탄 곡선으로 가는 경우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둔화될 수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 Rolling Effect와 수익률 곡선 타기 전략

정상 수익률 곡선 상황에서 채권의 만기가 다가올수록 채권의 가격은 점점 올라가게 된다. 쉽게 말해 시간이 흐르면서 채권의 잔존만기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채권 가격이 점차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를 공이 언덕을 굴러 내려오듯이 채권의 만기가 굴러가면서 가격이 상승한다고 하여 rolling effect라고 한다.
 
이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전략을 수익률 곡선 타기 (yield curve riding) 전략이라고 한다. 이전 글에서 소개했던 슈카쌤 영상에 간단하게 언급이 되었으며, 시장에 큰 변동이 없을 때에 이 전략은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1. 장기 채권 매입: 수익률이 높은 장기 채권을 매수한다.
  2. 시간 경과에 따른 만기 단축: 시간이 지나면서 장기 채권의 만기가 점차 짧아지고,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단순한 이표채의 경우 이 과정에서 떨어지는 쿠폰 금리를 받을 수도 있다.
  3. 채권 매도 및 차익 실현: 적절한 시기에 채권을 매도하여 가격 상승에 따른 차익을 실현한다.

이 전략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으며, 다양한 만기의 채권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므로 금리 변동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장기 채권에 투자하면 단기 채권에 비해 유동성이 낮아질 수 있다.


채권의 수익률 정보에서 시작하여 국가의 경기 흐름까지 파악할 수 있는 수익률 곡선은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잘 이용하면 투자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런 것들을 알고서 미국과 한국의 국채 수익률 곡선을 그려보니 조금 오묘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