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namesong
[LabVIEW] myRIO에 저장되는 데이터 접근 (네트워크 위치 추가, tmp, USB) 본문
앞선 글까지를 통해 LabVIEW를 이용한 코딩을 위해 NI MAX를 이용하여 myRIO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스템을 만들고 myRIO의 설정을 마쳤다면, 프로그래밍을 하고 실험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이 때 데이터를 1) USB에 저장하거나, 2) myRIO 자체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경로 설정이나 방법과 같은 내용은 LabVIEW로 프로그래밍을 할 때에 해당하는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고, 이번 글에서는 myRIO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을 다루고자 한다.
앞서 설명했던 USB 저장과 myRIO 내부에 저장할 때 각각의 상황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파일 탐색기의 "네트워크 위치 추가"
파일 탐색기를 열고 내 PC로 들어가면 컴퓨터 구성에 따라 C드라이브, D드라이브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네트워크 위치 추가"라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네트워크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주소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보이는 창에 myRIO의 "http:// + (IP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추가로 데이터가 있는 폴더로 바로 접근하고 싶으면 /files를 추가하면 된다. 이 글에서는 http://172.22.11.2/files를 사용했다. myRIO를 USB로 유선 연결 할 때 할당되는 IP 주소이다.
여기서 내 자격 증명 기억을 클릭해도 나중에 접근하려면 다시 입력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서 조금 불편하긴 하다. (굳이 클릭 안해도 된다는 뜻)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위치 이름을 지정하고 마치면 아래와 같이 폴더에 접근 가능하다.
이렇게 myRIO 내부의 저장장치에 접근이 가능해졌다.
임시 폴더와 USB 폴더
앞서 소개했듯, myRIO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USB를 꽂아서 그 USB에 저장하거나, myRIO 내부의 임시 경로에 저장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USB에 해당하는 경로는 U로 명명된 폴더에 해당한다.
U 폴더는 USB를 빼면 사라지며, U 폴더 안으로 들어가보면 USB에 저장된 파일들이 확인 가능하다.
다음으로 myRIO 임시 폴더는 tmp로 이름 붙여진 폴더이다.
이름 그대로 temporary한 폴더이기 때문에 myRIO의 전원이 꺼지면 내부의 파일들이 모두 사라진다. 따라서 이 경로를 데이터 저장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데이터 획득 후 백업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다른 폴더는 myRIO의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어서 LabVIEW에서 저장 경로로 지정해도 저장이 되지 않는다.
이번 글에서는 myRIO로 저장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tmp 폴더에 저장하면 당연히 필요하고, USB에 저장하면 데이터 확인을 위해 USB를 뺐다 꼈다를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사용 외에도 네트워크 위치 추가 기능은 웹 폴더나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방법일 것이다.
'Embedded System > Lab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bVIEW] myRIO의 시간을 PC와 동기화하는 방법 (w/ or w/o using NI MAX) (0) | 2024.08.01 |
---|---|
[LabVIEW] myRIO 무선으로 연결하기 (WiFi, NI MAX) (1) | 2024.07.30 |
[LabVIEW] myRIO 설정하기 (NI MAX, myRIO 세팅) (1) | 2024.07.29 |
[LabVIEW] 프로그램 구성 (1)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