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namesong
[경제금융용어 700선]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본문
앞선 글에서는 고통지수라는 부정적인(?) 경제 상황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번에는 좋은 상황에 놓인 경제를 정의하는 용어인 골디락스 경제에 대해 정리한다. 이를 위해서는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라는 이야기를 통해 골디락스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경제에서 이 용어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는 식으로 소개한다.
-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
영미권에서는 (우리나라의 콩쥐팥쥐처럼?) 굉장히 유명한 이야기이며,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예쁜 금발머리 소녀 골디락스(Goldilocks)가 숲으로 놀러왔다가 한 오두막집을 발견했다. 노크를 했지만 아무도 나오지 않았고, 골디락스는 그냥 들어간다. 부엌에 간 골디락스는 죽(포리지) 세 그릇이 식탁에 놓여있는 것을 발견했으며 첫 번째 죽과 두 번째 죽은 각각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가웠고 세 번째 죽은 딱 적당한 정도여서 골디락스는 세 번째 그릇을 맛있게 비웠다.
식사를 마치고 골디락스는 피로가 몰려와 거실로 이동하고, 그곳에 세 개의 의자가 있었는데, 첫 번째 의자와 두 번째 의자는 너무 크거나 너무 작아서 앉을 수 없었고 세 번째 작은 의자는 딱 맞아 골디락스는 편하게 앉았으나 그 의자는 곧 부서져 버렸다. 골디락스는 어쩔 수 없이 지친 몸을 이끌고 침실로 들어갔다. 침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침대는 너무 딱딱하거나 너무 푹신해서 잘 수가 없었고, 딱 맞는 세 번째 작은 침대에서 골디락스는 잠이 들었다.
그 후, 집 주인인 세 마리 곰이 산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부엌에 오자, 그들은 누군가가 건드린 죽과 아기곰의 빈 그릇을 발견했다. 뒤이어 곰들은 거실에서 누군가가 앉았던 의자와 부서진 아기곰의 의자를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곰들은 침실에서 누군가 누웠던 흔적이 있는 침대와 아기곰 침대에 누워있는 소녀를 발견했다. 웅성이는 소리에 골디락스는 눈을 뜨고, 세 마리 곰이 자기를 쳐다보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 곧바로 멀리멀리 도망친 뒤로 오두막에 얼씬도 하지 않았다.
- 골디락스 경제란?
골디락스 이야기에서 볼 수 있듯 너무 뜨겁거나 너무 식은 죽은 먹기 좋지 않고, 너무 딱딱하거나 너무 푹신한 침대는 잠을 자기에 적절하지 않다. 이처럼 과도하지 않은 (적절한) 그 무언가를 표현할 때 골디락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경기가 좋아지고 경제성장이 계속되지만 물가는 크게 상승하지 않는, 즉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딱 좋은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뜻하는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가 이렇게 등장하게 되었다.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이다. 경기과열이나 불황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을 경험하지 않는 양호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제를 지칭한다. 이와는 반대로 경기가 나쁘면서도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 상황은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골디락스란 용어가 경제분야에서 자주 사용된 것은 1990년대 후반이다. 당시 미국경제는 수년간 4%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하면서도 낮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태를 유지하는 이례적인 호경기를 누렸다. 많은 전문가들은 1990년대 후반 미국 경제상황을 가리켜 골디락스 혹은 골디락스 경제라고 표현하고 있다. 당시 미국경제는 정보기술(IT)등으로 대변되는 신기술의 발달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물가상승을 동반하지도 않고도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지는 2004년 중국경제가 9.5%의 고도성장을 이루면서 물가상승이 거의 없었다며, 중국경제가 골디락스에 진입하였다고 기사화하기도 하였다.
금리나 환율이 크게 요동치면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므로 이상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금리나 환율이 급등하거나 급락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런 의미에서 금리와 환율이 안정되고 주식이 오르면 골디락스 경제라 부르기도 한다.
- 골디락스 경제의 특징 및 장점
- 높은 경제성장: 골디락스 경제에서는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 창출을 확대하여 경제 성장이 이루어진다. 소득 증가와 더불어 소비 또한 증가하여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낮은 물가상승률: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기업들은 생산 비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는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 높은 고용률: 경제 성장과 더불어 기업들의 고용 창출이 활발해져 실업률이 감소한다. 이는 국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과 사회 안정에 기여한다.
- 저금리: 골디락스 경제에서는 물가 안정으로 인해 금리가 낮게 유지된다. 이는 기업들의 투자 활동을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된다.
- 경제적 안정: 골디락스 경제는 높은 성장률, 낮은 물가 상승률, 높은 고용률, 저금리 등 여러 경제 지표들이 적절한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어 경제적 안정을 이루어야 한다.
이런 특징들을 정리해봤는데 정량적인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보니 경제 지표뿐만 아니라 여러 시대 상황도 포함이 되어야 할 것이며, 골디락스에 대한 의견도 개인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을 수 있다. (2024년 5월 쯤 미국의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진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에 대해,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부터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다는 주장까지 의견이 분분했던 것처럼)
-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하는 골디락스경제
골디락스경제(Goldilocks economy)는 경기과열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을 염려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에 있는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이는 영국의 전래동화인 골디락스와 곰 세 마리(Goldilocks and the three bears)에 등장하는 금발머 리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동화에 따르면 엄마 곰이 끓인 뜨거운 수프를 큰 접시와 중간 접시 그리고 작은 접시에 담은 후 가족이 이를 식히기 위해 산책을 나갔는데, 이 때 집에 들어온 골디락스가 아기 곰 접시에 담긴 너무 뜨겁지도 않고 너무 차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의 수프를 먹고 기뻐하는 상태를 경제에 비유한 것이라 한다. 즉 경기과 열이나 불황으로 인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을 경험하지 않는 양호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제를 지칭한다.
이번 글에서는 골디락스경제에 대해 정리하였다.
골디락스와 곰 세마리 이야기에서 비롯된 다른 용어들 (e.g., 골디락스 가격, 골디락스 존 등)도 있으니 알아보면 골디락스 (Golilocks)라는 단어가 어떤식으로 사용되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